2025학년도 Social Entrepreneurship 교육(기본·심화) 성료


서울여자대학교 SI교육센터는 2025학년도 Social Entrepreneurship 교육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

 

Social Entrepreneurship 교육은 사회적기업가정신 교육으로 비즈니스 기안의 사회문제 해결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최근 서울여자대학교 글로벌통상학부 신설 등으로 외국인 유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25학년도 부터는 서울여대 재학생과 더불어 외국인 유학생들도 수강대상에 포함하여 유학생의 창업 및 취업 역량까지 포괄하는 방향으로 운영됐다.

 

2025학년도 Social Entrepreneurship 교육은 1학기에 기본과정 2학기에 심화과정으로 총 2회 진행했다.

 

1학기에 진행된 기본과정은 서울여대 SI교육센터와 비전웍스벤처스가 공동으로 기획·운영했다.


교육과정은 비즈니스 모델 기반 사회문제 해결 역량 향상를 중심으로 한국 스타트업 트렌드 및 소셜섹터 이해(사회혁신기업 취·창업 전략서비스 개발 프로젝트(고객 페르소나 및 수요 발굴마케팅 전략 프로젝트(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고객 채널 전략등 실전 중심의 창업 교육으로 진행됐다프로그램 수료자에게는 교내 창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시 우대 혜택과 수료자 펠로우십 네트워킹 기회가 제공돼창업 관련 정보 교류와 협업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또한 우수 프로젝트 제안자에게는 사업화 지원 기회도 주어져교육 이후의 실질적 연계 가능성을 높였다.

 

기본과정 교육에 참여한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은 “창업은 단순히 이익을 내는 것이 아니라사회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이번 교육을 통해 알게 됐다, “사회적 가치를 담은 나만의 비즈니스 모델을 직접 설계해 볼 수 있어 의미 있는 과정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2학기에 진행된 심화과정은 서울여대 SI교육센터와 워크와이즈가 공동으로 기획·운영했다.


교육과정은 AI기반 창업 시뮬레이션 플랫폼인 스타트업 빌더를 활용하여 문제 탐색 및 가설 설정 시장 정의 및 고객 페르소나 설정 제품 설계 및 고객 피드백 MVP 및 수익모델 설계 등 실전 중심의 창업 교육으로 진행됐다프로그램 참여학생에게는 창업을 단순 구상 단계에서 마치는 것이 아닌 실제 제품과 수익모델을 설계하고 MVP 정의와 측정지표 설정까지 창업의 전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여 실전 창업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심화과정 교육에 참여한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은 “창업이라고 생각하면, 어떤 것부터 어떻게 구상을 해야할지 막막했는데, AI를 활용하며 창업의 전 단계를 설계할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창업의 전 단계를 구상하고 설계해 볼 수 의미 있는 과정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서울여자대학교는 앞으로도 다양한 국적과 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사회혁신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실천적이고 국제적인 교육과정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